천안지부 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재속 복자회 천안지부 6월례모임

 

*일 시 : 202567()

*참석인원 : 66

 

강의 I : 윤미자 아델라 수녀님

- 주제 : 나의 호흡, 나의 기도 (하느님과 함께 걷는 삶)

 

(1) 왜 기도하는가?

1) 하느님과의 일치를 위해 기도한다.

  • 하느님께찬양과 흠숭을 드리기 위해 기도한다.
  • 하느님과 대화하기 위해 기도한다.
  • 하느님의 소리를 듣기 위해 기도한다.
  • 하느님과의 만남을 위해 기도한다.
  • 하느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기도한다.
  • 현존하시는 하느님을 의식하기 위해 기도한다.
  • 새로운 하느님을 발견하기 위해 기도한다.

 

(2) 친밀함 

  • 지내는 사이가 서로 친하고 매우 가깝다.
  • 서로 매우 친하여, 체면을 돌보거나 조심할 필요가 없다.
  • 예수님은 아버지 하느님 친밀한 관계에 계셨다.
  • 기도와 친밀함 : 일치의 관계

 

(3) 하느님의 친밀함을 회복

  • 친밀함을 회복하기 위해 하늘 사랑이 필요하다.
  • 그리스도교의 사랑은 자기 초월을 통한 자기 실현이다.
  • 하느님과의 친밀한 관계는 자신을 초월하게 한다.
  • 하느님과의 친밀한 관계의 유지에 꼭 필요한 것이 바로기도이다

 

(4) 기도란 무엇인가?

  • 하느님과의 사랑의 대화
  • 모무는 것 : 마르타와 마리아 이야기 (루카10,38-42)
  • 연결되는 것
  • 하느님을 아버지라 부르는 시간
  • 예수님께서는 자주  외딴곳으로 물러가 기도하셨다. (루카5,16)
  • 하느님께 마음을 들어 올리는 것
  • 우리의 갈망이 하느님께 드리는 행위
  • 그분을 바라보는 것
  •  

(5) 성인의 기도

내면의 성전으로 들어가는 여정 (성 아우구스티노), 하느님과 깊은 만남의 통로() (십자가의 성 요한)

 

(6) 창설 신부님의 기도에 대한 가르침

  • 기도는 입으로만 외우는 것이거나 정신만의 기도보다 일상생활 자체가 기도가 되어야 한다. (1961.9.23. 강론)
  • 기도는 우리 정신과 우리 마음을 하느님께 들어 올리는 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이다.(1959.12.12.)
  • 모든 기도 중에 정신 기도가 홀로 제일이다. 이 기도가 바로 대월생활로 들어가는 하느님과 통하는 것이다.(1965.7.24.)
  • 기도는 그리스도 신자들의 본분이요, 생활의 핵심이니 기도하지 않으면 하느님의 은총을 받을 수 없고 은총을 받지 못한다면 버림받은 사람과 같이 되기 때문이다.(용어해설14,영원한 기도)
  • 모든 순간이 기도가 되어야 하는데완덕오계대로 사는 것이 바로 기도이다(1968.9.8.강론)
  • 참된 기도를 하는 자에 용모에 발하여 미소 짓게 된다. 이 얼굴이 기도의 얼굴이요, 이런 이는 명랑하고 평화롭게 된다. 예모, 상대방에게 유쾌하게 해 주는 것이다.(1968.9.8.강론)

 

(7) 기도의 종류

1) 염경기도(소리 기도)  2) 묵상기도(지적 기도) 3) 관상기도(직관 기도)

 

(8) 기도의 형태

1) 청원 기도 2) 탄원 기도 3) 찬양 기도 4) 감사 기도 5) 침묵 기도

 

  • 기도는 일상이다.
  • 내 작은 희생도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입니다. - 성녀 소화데레사
  • 고통도 기도가 될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 드리는 사랑의 행위입니다. - 십자가의 성요한
  • 노래하는 이는 두 배로 기도하는 것이다. - 성 아우구스티노
  • 기도는 입으로만 외우는 것이거나 정신만의 기도보다 일상생활 자체가 기도가 되어야 한다. (1961.9.23. 강론)

  

(9) 기도의 7가지 원칙

1) 기도는 의무감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우러나오는 마음에서 해야 한다.

2) 기도는 간절히 하느님의 현존 가운데 머무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말이 필요 없다.

3) 기도는 성령의 인도에 따라 성령과 함께하는 것이다.

4) 기도는 나의 영혼이 주님의 영 안에서 쉬는 시간이다.

5) 기도는 하느님께 되돌아가는 회개의 길이다. 그래서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 가는 사실 중요하지 않다.

6) 기도는 하느님 안에 수동적으로 머무는 것이다.

7) 기도는 모든 의식을 하느님께 집중하는 것이다.

 

(10) 기도의 자세

1) 기도는 감정이 아니라 믿음의 행위입니다기도는 되지 않을 때도 기도하는 이가 됩시다.

 

  • 기도는 우리가 하느님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우리를 부르시는 소리에 응답하는 시간입니다.
  • 작은 기도도 하느님은 기쁘게 받으십니다. 그것이 사랑 안에서 드려졌기 때문입니다. - 성녀 소화데레사-
  • 기도는 교회가 멈추지 않고 하느님께 드리는 호흡이다. - 카톨릭교회 교리서 2697항-

 

Screenshot_50.jpg

Screenshot_10.jpg

Screenshot_40.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 2021년3월6일 월례회의 file 천안외부회 2021.03.07 1694
2 천안지부2차 총회 file 천안외부회 2021.02.21 1601
1 2021년2월6일 월례회의 file 천안외부회 2021.02.07 20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