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부 게시판
조회 수 1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슬라이드1.PNG.jpg

슬라이드2.PNG.jpg

슬라이드3.PNG.jpg

슬라이드4.PNG.jpg

슬라이드5.PNG.jpg

슬라이드6.PNG.jpg

슬라이드7.PNG.jpg

슬라이드8.PNG.jpg

슬라이드9.PNG.jpg

슬라이드10.PNG.jpg

슬라이드11.PNG.jpg

 

재속복자회 부산지부

 

202311월 재속복자회 양성자반모임

 

   :  1111() 13  16

참석자  :   61  (임원 포함 )

   :  오륜대 수녀원

   :  김경희 루시아 수녀

 

 

진행 순서

12:30   13:00   간식

13:00   15:00   강의

(주제 : 면형(麵形)=비움, 내려감 / 김경희 루시아 수녀님)

15:00   15:45   그룹나눔

15:45   16:00   나눔발표

 

 

강의 면형(麵形)

 

1. 면형무아(麵形無我)

 

-면형무아 : 영성의 중심이고 총괄이며 정점인 하느님과의 합일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방유룡 신부가 만들어낸 영성어

-성체축성으로 밀떡의 실체는 없어지고 그 형상만 남은 麵形에 그리스 도께서 오시어 麵形이 성체가 되듯이 내가 없어진 無我에 하느님께서 오 시어 하느님과 하나가 된 無我를 말한다.

-예수님께서 세상에서부터 실체적으로 우리와 결합하여 나 자신이 되려고, 빵의 형상일 뿐 실제로는 무()인 면형(麵形) 속에 계실 정도로 철저히 자 신을 비우시고 무화(無化)하셨다. 그러므로 우리도 주님을 모시려면 자신을 완전하게 비우고 무()가 되어야 한다.

-무언가를 해야 하느님이 사랑해 주시는 것이 아니다. 힘을 빼야한다. 나의 주인은 하느님이시기에 나를 비우고 하느님께 온전히! 무조건! 맡겨야 한 다. “주님! 저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주님께서 해 주세요.” 내가 주 인이 아니라 예수님, 성령께서 하시는 것이다.

-나를 비우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믿음!” 하느님을 믿고 맡기는 것이다.

-“다바르” : 말씀, 사건을 뜻하는 히브리어. 나에게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 에서 하느님께서 나에게 하시려는 말씀이 무엇인지 깨달아야 한다.

 

2. 면형(麵形)

 

-그리스도교 영성생활의 궁극 목적 : 하느님과의 합일

-하느님 안에서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며 살아가고 마침내 하 느님과 영원한 일치를 이루려면 그리스도와 완전히 결합하여 그리스도와 내가 완전히 하나 됨으로써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삶을 지금 여기 에서부터 살아야 한다.

-방 신부는 하느님과의 일치를 이루는 완덕의 절정을 면형무아라고 한다.

-방 신부는 무()에서 부르시는 하느님과 일치하려고 무를 향한 침묵 대월 의 삶을 살았고 우리에게도 그렇게 살도록 가르치셨다.

 

1) ()인 면형

-면형은 그 형상만으로써는 실체가 없는 무이다. 그리고 바로 이 무에 하 느님이 계심으로써 성체가 되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성체를 이루실 때 누 룩 없는 빵을 사용하셨다.

-이때 성변화(聖變化)를 통해 빵의 형상 안에 당신 자신을 현존시키심으로 써 우리를 위해 제헌하신 당신의 살과 피를 생명의 빵이 되게 하시어 우 리에게 주신 것이다.

-어디나 계신 무소부재(無所不在)하신 하느님이시지만 시레적으로 현존하 시는 하느님을 만나려면 우리는 면형에 신비적으로 현존해 계신 성체께 로 나아가야 한다.

 

2) 면형은 무아의 상징

-면형은 무아의 상징이요, 무아의 상징이 면형이다.

-우리와 하나 되기를 열원하시는 예수님께서는 면형에서 우리를 향해 면 형이 되라.’고 애타게 부르신다. , 자아를 말끔해 없애서 텅 빈 무사무욕 무아가 됨으로써 당신이 우리 안에 머무실 수 있도록 하란ㄴ 것이다.

-무아가 되어 하느님을 우리 안에 모시게 되면 나는 없어지고 하느님이 내 안에 사시게 된다.

 

나눔주제 : 나는 언제 무화(無化)한 경험이 있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2024년 6월 월례모임 (제1회 마뗄의 날, 다시 1969,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file 부산복자회 2024.06.29 122
75 2024년 6월 양성자반 모임 - 완덕오계 제1계 - 지도수녀님 대피정에서 경험한 하느님과의 새로운 만남 이야기 file 부산복자회 2024.06.12 136
74 2024년 5월 월례모임 (성모성월을 맞이하여 우리의 어머니이신 성모님께 꽃과 편지를 봉헌합니다) file 부산복자회 2024.05.27 99
73 2024년 5월 양성자반 모임 - 회칙 제4장 형제적 생활, 제5장 사도적 생활 file 부산복자회 2024.05.15 139
72 2024년 4월 거제도 성지순례 - 복자 윤봉문요셉 성지, 유섬이 묘 부산복자회 2024.04.27 282
71 2024년 4월 양성자반 모임 - 성화로 가는 길 완덕오계 file 부산복자회 2024.04.16 123
70 2024년 3월 월례모임 (이순이 베로니카 총장수녀님 특강) - 환대 (쪼개진 면형으로 환대의 삶을 살자) 부산복자회 2024.03.25 114
69 2024년 3월 양성자반 모임 - 그리스도인의 실존과 면형무아 부산복자회 2024.03.10 297
68 2024년 2월 월례모임 (2023년 사업보고 및 2023년 개근상 시상) 부산복자회 2024.02.28 163
67 2024년 2월 양성자반 모임-면형무아(麵形無我) - 예수님의 자기 비움 file 부산복자회 2024.02.23 86
66 2024년 1월 구역장 및 봉사자 피정 - 성모님의 영성 = 섬김 file 부산복자회 2024.02.03 132
65 2023년 선종활동 및 재가방문 -주님의 자비를 베푸고서! file 부산복자회 2024.02.03 95
64 2023년 12월 월례모임(연피정, 서약갱신식) - 재속복자회의 방향성 file 부산복자회 2024.02.03 56
63 2023년 12월 양성자반 모임 - 무아 file 부산복자회 2024.02.03 38
62 2023년 11월 하반기 확대총평의회 참석 - 세상과 교회 안에서 재속회원으로 살아가기 file 부산복자회 2024.02.03 23
61 2023년 11월 월례모임 - 사말의 노래 file 부산복자회 2024.02.02 86
» 2023년 11월 양성자반 모임 - 면형=비움, 내려감 file 부산복자회 2024.02.02 100
59 2023년 10월 월례모임, 입회식, 착복식 - 하느님 앞에서 가장 중요한 것? file 부산복자회 2024.01.23 49
58 2023년 10월 양성자반 모임, 입회/착복 예정자 피정 - 회칙(기도생활), 부르심에 응답하는 자세 file 부산복자회 2024.01.21 47
57 2023년 9월 월례모임 - 순교극 (머릿속의 지우개) file 부산복자회 2024.01.21 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