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지부 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재속 복자회 천안지부 10월 월례모임

 

*일 시 : 202510월 11일()

*참석인원 : 68

 

강의 I : 윤미자 아델라 수녀님

- 주제 : 시복·시성 (뷔르기에르 주교, 김수환 추기경, 방유룡 신부)

 

IMG_2550.JPG

1. 시복·시성에 대한 요건 및 절차 : 시복·시성 안건은, 삶과 죽음과 죽음 이후에도, 모든 그리스도교 덕행을 영웅적으로 실천하여 성덕의 명성을 누리거나,

그리스도를 더 가까이 따르고 목숨을 바치는 순교행위로써 순교의 명성을 누리는 가톨릭 신자를 대상으로 한다. (성인들의 어머님 제41)

 

2. 시복·시성에 추천될 요건

1) 성덕의 명성, 순교의 명성, 전구 능력의 명성

2) 영웅적인 덕행, 실천, 순교

3) 시성함에 중대한 장애가 없을 것

 

3. 시복·시성 절차의 진행방법

1) 구두 진술 : 최근 안건

2) 기록된 자료에 의한 것 : 옛날 안건

 

4. 시복·시성 절차 진행의 두 가지 측면

1) 교구심사 : 예비 심사

2) 교황청 심사 : 본심사

 

5.시복·시성 절차(시복·시성 준비단계)

1) 청구인 : 시복·시성 안건을 신청하는 이

2) 청원인 : 청구인을 대신하여 시복시성을 추진하는 이

3) 청원서 접수 : 성덕, 생애, 명성 등의 청원서 접수

4) 주교단 협의 : 지역 주교회의에 자문을 구함

5) 교황청 시성부에 장애없음요청

6) ‘장애없음승인·통보 : 안건착수

 

6.교구단계(예비심사단계)

1) 예비심사 관여자 : 주교, 검찰관, 공증관, 의학 전문가(치유 기적)

2) 문서증거 수집 : 모든 문서 수집, 역사, 신학 위원회를 통해 문서 검열

3) 증인 : 증인들의 증언

4) 법정 구성 : 증언

5) 예비심사 종결

6) 조서번역

7) 전달자 임명

8) 예비심사 종료 증서의 봉인

 

7. 교황청 단계

5) 교구심사 서류접수

6) 심문요항(POSITIO)준비 : 생이와 성덕이나 순교에 대한 선학자들의 판단을 누려본다.

7) 최종심사 자료 마련 : 전문적이고 신학적인 연구와 토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8) 교황님께 결과 보고 : 교황은 영웅적인 성덕이나 순교에 대한 시성 교령을 발포함.

(시성 교령은 무류권에 해당하는 최종 확정임)

 

8. 방유룡 신부님의 시복·시성 절차

1) 청원서 제출 : 청구인은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청원인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2) 주교회의 동의 : 한국주교회의 추계 총회에서 주교님들의 동의를 얻어 안건 통화되었다.

3) 교황청장애없음요청, 승인. 통보: 안건을 착수하기에 앞서 장애가 없는지 문의하고 이예 공문을 요청하는 것이다.

4) 현양 : 시복 시성을 위한 기도와 희생, 그리고 영성을 실천하는 것이 우리의 몫이다.

 

9. 방유룡 신부님의 영웅적 덕행

1) 창설자 :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한구순교복자성직수도회,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 재속복자회, 삼회

2) 영성가 : 면형무아의 삶을 통해 고유한 영성을 가르치셨다.

3) 열정을 다하는 삶 : 성인 되는 삶으로의 초대, 일상을 성화시키는 삶을 통해 주님께 가는 길을 보여주셨다.

4) 일치의 삶 : 주님의 빛을 받아 온 생애를 주님을 향한 삶으로 사셨던 분이시다.

 

10. 기적

1) 치유 관련 기적 : 중한 질병, 치명적 상태, 의학적인 방법으로 치유 불가능, 치유의 속도, 치유의 기간, 전구와 치유와의 관계

2) 본질의 변화 : 물이 포도주로 변함

3) 지연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

4) 빵의 기적 : 오천명을 먹이신 기적

5) 윤리적 기적 : 알코올 중독, 회개 등

  • 기적들이 실제로 있었는지, 자연법을 넘어서는 것인지, 전구가 따랐는지, 신앙의 확고함이 뒤따랐는지

 

11. 성인이나 복자에게 바치는 공적경배의 기념과 방식

1) 공적경배의 대상 : 교회 권위가 성인들이나 복자들의 명부에 올린 하느님의 종들만을 공적 경배로 공경할 수 있다.(교회법 제1187)

2) 공적경배의 조건 :

단순히 개인 자격이 아닌 교회의 이름으로 행사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합법적으로 위탁된 사람들에 의해 행사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교회의 권위에 의하여 승인된 예식에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

 

3) 공적경비의 방식

고유 기념미사

시간 전례(성무일도)

성인호칭기도

성당 봉헌

주보성인

유해 공경

성화상 공경

 

4) 공적 경배 금지에 관한 선언

장엄 행사나 찬양기도 금지

시복 시성이 확실하다고 추측하도록 유도할 만한 행위를 삼가 해야한다.

제대 밑에 하느님의 종의 시신을 모시는 일, 성당이나 경당에 유해를 모시는 일, 제대 위에 유해를 현시하는 일, 성당 내에 사진이나 동상 놓는 일 등

 

5) 사적경배

기억 또는 기념해야 할 장소 방문 (묘지, 기념관, 사목지, 탄생지, 관련 장소 방문 등)

전구기도

 

강의 : 윤미자 아델라 수녀님

- 주제 : 마리아의 눈으로 예수님을 바라보는 기도_묵주기도

 

IMG_2632.JPG

1. 묵주의 기원

1) 초기교회 때 순교자 추모

2) 은수자들의 기도

3) 삼종기도의 보급과 성모 신심

4) 13세기 성 도미니코 전승

5) 도미니코 수도회 알랑 드라 로슈 수사

6) 레판토 해전과 교회의 역사전 체험 : ‘승리의 모후 기념일제정(10/7), 현재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마리아 기념일

7) 루르드(1858)와 파티마(1917 ), 성모발현과 묵주기도

8)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교서 : ‘동정 마리아의 묵주기도’(2002) - 빛의 신비

 

2. 묵주기도를 사랑한 교황들의 칙서

1) 묵주기도의 방법과 구성을 표현화 :성비오 5세 교황의 칙서(1569917)에 의해 오늘날 묵주기도의 형태가 정해짐, 묵주기도의 대헌장이라 불림

 

2) 신앙의 확산과 공동체적 노력 : 묵주기도의 교황, 교황 레오 13세가 회칙최고의 사도직무에서 10월을 묵주기도 성월로 선포,

묵주기도야말로 사회악을 물리치는 가장 효과적인 영적 무기라 강조, 세계평화와 죄인들의 회개를 위하여 함께 묵주기도 바칠 것을 요청

 

3) 복음 특성을 지닌 그리스도 중심의 기도 : 복자 바오로6세 교황의 권고마리아 공경에서 묵주기도를

음서 전체의 요약이자 구원적인 강생에 집중하는 기도이며 그리스도께 대한 끝없는 찬미라 칭함.

 

4) 신비의 심화 :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20021016일에 동정 마리아의 묵주기도라는 교서를 반포하며, 비츠이 신비를 추가,

                        묵주기도의 해 선포(200210~ 200310)

 

3. 묵주기도의 의미

1) 복음 묵상의 기도 : 예수님의 삶을 따라가며 복음을 되새김

2) 성모마리아와 함께 예수님께 나아가는 기도 : 성모마라이의 인도받아 예수님을 바라보고 그분께 나아감

3) 일상 속에서 하느님과 일치하는 기도 : 언제 어디서나 하느님과 일치하는 삶을 실현

4) 교회를 위한 전구의 기도 : 교회와 세상을 위한 보편적인 기도

5) 영적 전투의 무기 : 악과 유혹에 맞서는 강력한 신앙의 수단

6) 기도와 삶의 일치를 돕는 기도 : 묵상을 통해 삶의 방향성과 실천력을 얻음

 

3-1. 환희의 신비 : 예수님 강생과 유년 시절 (하느님은 나와 함께 계신다.)

3-2. 빛의 신비 : 예수님의 공생활(세례, 카나의 혼인 잔치, 하느님 나라 선포, 거룩한 변모, 성체성사 제정)

3-3. 고통의 신비 :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 예수님과 함께 고통을 봉헌)

3.-4. 영광의 신비 :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성령강림, 성모 승천(죽음으로부터의 천상 영광

 

4. 묵주기도 자체가 성모 신심의 표현

1) 성모신심의 요소  :  

- 성모님에 대한 공경, 예수 중심성, 성모님과의 일치, 중재 신앙, 마리아적 영성 실천

2) 묵주기도에서의 실현 방식 : 

- 성모송 반복, 성모님의 삶과 역할에 대한 묵상

- 각 신비가 예수님의  생애를 중심으로 구성됨

- 성모님의 마음으로 예수님 묵상, 고통과 기쁨 동참

- 묵주기도를 통해 성모님의 전구를 청함

- 인내, 겸손, 신뢰, 사랑의 영성 실천 훈련

 

5. 마리아와 함께 걷는 구원사 묵상

1) 환희의 신비 - 성모님의 기쁨과 고통

2) 빛의 신비 - 마리아의 순명으로 시작된 구원 사명의 완성 과정

3) 고통의 신비 - 성모님의 고난 동참

4) 영광의 신비 - 성모님의 승천, 천상 모후로서의 영광

--> 묵주기도는 성모님의 생애와 마음, 그리고 구원 역사에 동참하는 기도 <이것이 바로 성모 신심의 핵심>

 

6. 왜 묵주기도와 성모신심의 중심인가?

1) 마리아의 마음을 본받는 기도

2) 마리아의 전구를 믿고  청하는 기도

3) 마리아를 닮아가는 삶으로 인도하는 기도

 

4. 창설자의 영성안에서

 Screenshot_11.jpg Screenshot_12.jpg

 

 

5. 우리의 묵주기도

1) 내면의 평화를 되찾는 기도

2) 고통과 위기의 순간에 희망을 주는 기도

3) 삶의 방향과 의미를 회복시키는 기도

4) 가정과 사회를 치유하는 기도

5) 악과 유혹에 맞서는 영적 무기

 

IMG_2487.JPG  IMG_2492.JPG

 

IMG_2504.JPG  IMG_263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 2025년 11월 1일 창설 신부님 묘지 순례 newfile 천안지부 2025.11.04 4
111 2025년 11월 천안지부 소식 file 천안지부 2025.10.31 16
» 2025년 10월 월례모임_시복·시성 / 마리아의 눈으로 예수님을 바라보는 기도 ‘묵주기도’ file 천안지부 2025.10.15 63
109 2025년 9월 28일 합동서약식 file 천안지부 2025.10.14 62
108 2025년 10월 천안지부 소식 file 천안지부 2025.10.12 61
107 2025년 기후위기 피켓팅 상반기 (2월~6월) file 천안지부 2025.09.30 66
106 2025년 9월 17일 관객이 여는 기후위기 영화 - 바로 지금 여기 file 천안지부 2025.09.30 87
105 2025년 9월 월례모임_ 순교자의 얼굴 file 천안지부 2025.09.15 105
104 2025년 9월 천안지부 소식 file 천안지부 2025.09.02 138
103 2025년 7월 월례모임_ 프란치스코 교황 회칙<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사랑하셨습니다> file 천안지부 2025.07.15 199
102 2025년 7월 천안지부 소식 file 천안지부 2025.07.04 198
101 2025년 6월 월례모임_서약자 재교육(나의 호흡, 나의 기도) file 천안지부 2025.06.29 143
100 2025년 6월 천안지부 소식 file 천안지부 2025.06.08 181
99 2025년 5월 구역별 플로깅 성지 순례 file 천안지부 2025.05.21 188
98 2025년 5월 양성자반 창설신부님 사목지 순례 file 천안지부 2025.05.20 194
97 2025년 5월 14일 이영심 M막달레나 회원 선종 file 천안지부 2025.05.20 192
96 2025년 5월 월례모임_우리는 한국순교복자회 재속복자회 입니다. file 천안지부 2025.05.08 259
95 2025년 5월 천안지부 소식 file 천안지부 2025.04.29 189
94 2025년 4월 월례모임_희년, 성무일도 file 천안지부 2025.04.21 252
93 2025년 4월 3일 장항구역 방문 file 천안지부 2025.04.03 2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