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부 게시판
조회 수 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슬라이드1.JPG

 

 

슬라이드2.JPG

 

슬라이드3.JPG

 

슬라이드4.JPG

 

슬라이드5.JPG

 

슬라이드6.JPG

 

슬라이드7.JPG

 

 

회칙 3장 기도생활

 

                                                                              담당: 라마리아 수녀

회칙 3

16 재속 복자회 회원의 기도 생활의 기본은 우리 안에 활동하시는 성령을 통하여 매순간 하느님과 친교의

        삶을 이루는 대월생활이다.

 

우리가 영적 삶을 살아가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

    • 늘 하느님을 마주 대하는 것. , 하느님의 현존을 대하고 사는 것

    • 침묵도 하느님을 뵈옵는 대월, 대월 없는 침묵은 혼()이 없는 행위

    • 대월은 하느님과 한 영혼 사이에 이루어지는 친교의 삶

    • 하느님 사랑과 인간의 사랑이 만나는 자리,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노력이 어우러지는 자리

 

대월(對越)의 대()

    • 하느님을 마주 대한다는 의미로서 대월의 대()는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내재하심을 믿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초월자이신 하느님께서 은 총으로 우리에게 도저히 알 수 없는 초월자이신 하느님께서 은총으로 우리에게 다가오 심을 바라고 기다리는 희망(망덕)의 행위

    • 대월은 처음에는 신앙 안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고 자신의 존재방향을 현존하시 는 하느님께로 향하게 하는 의지의 움직임이 요구된다. , 노력이 필요한 것

    • 하느님께서 현존하심에 대한 의식을 성장시키고 전적으로 하느님의 의지에 일치하여 하느님의 현존 안에서 살려고 습관적으로 노력하는데서 부터 대월은 시작

 

대월의 월()

하느님께로만 기울어지게 되고 하느님만을 찾게 되어 모든 것을 뛰어넘어 하느님께로 만 몰입되어 들어가는 것

영혼은 하느님만을 찾게 되어 영혼이 하느님을 찾으면 하느님께서 더욱 빠르게 마주 오시기 때문에 대월을 통해서 하느님의 빛이 오고 그는 하느님과 절친해져서 떠날래야 떠날 수 없게 되어 대월은 더욱 치열하게 됨

우리의 영과 눈과 귀는 대월을 통해 밝아지는데 대월로 밝아진 눈은 태양보다 밝아 신 비계를 보게 됨. 대월하는 영혼은 하느님을 뵙고, 느끼고, 누리게 됨.

 

 

대월 5(대월3칙과 2효과)

    • 대월1: 내 자작(自作)으로 하지 않는다. Jn.8,28

                     (내 자작으로 아무 것도 아니한다.)

   • 대월2: 하느님 사람이 되기 위하여 하느님께서 가르쳐 주시는 것을 말하고 행하다.

                     (나는 아버지께서 가르쳐 주신 것을 말하고 행한다.) Jn.8,28

    • 대월3: 하느님 좋아하시는 것만 한다. Jn.8,30

                      (나는 아버지 좋아하시는 바를 항상 해 드린다.)

    • 대월4: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는 항상 나를 혼자 버려두지 않으신다. Jn.8,30

    • 대월5: 내가 하는 모든 일은 아버지께서 친히 하신다. Jn.14,10

 

대월 기도 자세

    • 모세가 팔을 드는 것: 이스라엘이 하느님께로 향할 때

    • 모세가 팔을 내리는 것: 방심하여 분심과 잡념을 하는 때

    • 우리가 손을 벌리고 대월하는 것은 이스라엘 백성이 복지에 들어갈 때 물이 물의 본성을 없이 하여 갈라

       져서 복지에 들어간 것과 같이 사욕과 분심잡념에서 나를 갈라내어 하느 님께 내 마음을 열어 보이고

       하느님과 일치하기 위한 뜻

    • 대월기도 시작에 우리가 팔을 벌리고 가슴을 여는 것은 자신의 전 존재로 영혼 뿐 만 아니라 우리의 몸           ()으로도 하느님을 향해 자신을 열어드림이고 내어드림이며 동시에 하느님의 전부를 맞아들이는 것을          나타내는 자세

    • 전적으로 자신을 포기하고 모든 것을 떠나고 자신을 비우고 하느님만을 향해 하느님을 대면하고 맞아들 

      이는 우리의 대월을 몸으로 나타내는 것

 

18조 희생과 극기로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 하느님께 드리는 산제사, 면형제사

19조 인류를 위한 희생제사인 미사에 자신을 결합, 매순간 면형제사를 드림으로써 매일의 생활이 미사의

        계속

20조 월례모임의 전례에 참여

21조 죄인들의 회개와 성직자 성화를 위해 희생과 기도, 십자가의 길 기도 묵상

22조 병중이거나 요양 중에 있는 회원들은 인내로써 자신을 봉헌하며 기도로 재속복자회 사명에 참여, 회원 

      들은 병중에 있는 회원들과 기도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애덕을 실천, 연령들을 위해서도 기도

23조 하루를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 완덕오계를 거울삼아 성찰하여 즉시 통회, 정개, 보속, 고해성사를 통하여 자신을 정화

24조 양심은 하느님을 알아내는 지성, 우리 영혼을 비추는 불, 이성 침묵으로 양심을 지키 고 자유를 남용하

     지 말 것이며, 선을 행하도록 노력하여 하느님 마음에 드는 사랑의 산 제물로 자신을 봉헌

      (교회헌장 10: 평신도 교령 3항 참조)

 

규정 3

24 가능하다면 매일 미사에 참례, 사욕 없는 면형 제물로 매순간 면형제사’, ’면형사제

25조 성체조배로 그리스도의 사랑의 현존 안에 친교를 나눔

26 성무일도 아침기도, 저녁기도를 바침

27조 묵상기도, 대월기도 시간을 따로 마련, 침묵대월이 영원한 기도

28조 매일의 묵상 준비는 "재속복자회의 서약' 순서대로 하며 묵상주제는 전례를 따르고 전날 취침 전에 준비

29조 성모 마리아와 함께 그리스도를 관상하며 자주 묵주기도 바침

30조 매일 성경을 공부, 설립자의 영적 어록집, 순교자의 전기 등 영적독서

31조 매년 1회 연중피정과 연말피정 의무, 연중피정 때와 위령성월에 선종회원을 위해 위령미사를 봉헌하고

        위령기도를 봉헌

32조 일상 안에서 성화를 위한 참회와 보속의 생활을 다음과 같이 실천

     1) 통회, 정개, 보속을 자주 발하며 양심을 지킴.

     2) 고해성사

     3) 침묵십계 실천

     4) 일상의 작은 순간들과 미소한 것에 정성을 다한 충실로 성의노력

    5) 일상의 어려움과 고통을 십자가의 비결로 인내, 받아들이고 봉헌

    6) 병자를 방문

    7) 낭비를 자제하고 절제

    8) 단식과 자선